쉽게 읽는 성격유형 가이드, MBTI, 그거 뭐에 쓰는 물건이냐고? — 16가지 성격유형을 우리 동네 비유로 쉽게 풀어보기
쉽게 읽는 성격유형 가이드, MBTI, 그거 뭐에 쓰는 물건이냐고? — 16가지 성격유형을 우리 동네 비유로 쉽게 풀어보기
요즘 젊은 친구들이 묻는, TV에서 흔히 나오는 T야? 하는 말, 나는 E성향이라, 나는 극I 성향이라는 등의 말들 많이 듣게 됩니다. 사실 우리네 인생 경험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20여년 전에는 혈액형으로 B형 남자는 무조건 나쁜 남자, A형은 소극적이고 하는 식으로 사람의 성격을 구분했습니다. 그와 비슷하게 복잡한 성격을 16가지로 나눠 “당신은 이런 스타일, 나는 저런 스타일”을 말해보는 성격 궁합 테스트쯤으로 이해하셔도 좋아요. 옛날에 사주 팔자를 보듯, 사람마다 타고난 성향이 있잖아요? 이는 그 성향의 ‘주파수’를 찾는 도구입니다. “아, 저 사람은 저렇게 생각하는구나” 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다고 볼 수 있어요.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사람의 선호 경향을 네가지 축으로 살피고 구분해서 16가지 성격유형으로 분류하는 심리 도구입니다. 병을 진단하는 검사라기보다 의사소통·협업 스타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분류 틀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축 | 코드 | 설명(생활 비유) |
---|---|---|
에너지 | E / I |
E(외향): 동네 마실 나가 이웃과 수다 떨며 기운 얻는 스타일. I(내향): 텃밭·집에서 혼자 쉬며 재충전하는 스타일. |
정보 | S / N |
S(감각): 눈에 보이는 현실을 중시 — “구름이 산 같네”. N(직관): 가능성과 의미를 상상 — “용 모양이니 좋은 일?” |
판단 | T / F |
T(사고): 옳고 그름·논리를 따짐 — “이게 맞아, 저건 틀려”. F(감정): 관계·공감을 우선 — “그 마음 오죽할까…”. |
생활 | J / P |
J(판단): 계획·루틴 중시 — “8시 산책, 9시 식사”. P(인식): 유연·즉흥 — “오늘은 시장이나 가볼까?” |
팁. 네 축의 조합(E/ I, S/ N, T/ F, J/ P)으로 총 16유형이 됩니다. 예: ENFP
, ISTJ
등.
참고. 같은 유형이라도 사람은 각자 다릅니다. 이 16가지 성격테스트는 경향성을 보여줄 뿐, 성격의 전부가 아니에요.
현명한 사용 — 낙인찍기(“넌 P라서 늦어”) 금지, 채용·진급의 절대 기준으로 쓰지 않기.